개인의식의 성장과 중국소설: 四大奇書부터 『紅樓夢』까지 |
 |
분야 | 문학 > 중국문학 |
|
 |
정가 | 28,000원 |
적립금 | 1,400원(5%적립) |
|
 |
저자 | 최형섭 |
초판 | 2014.05.30 |
발행 | 2014.05.30 |
|
 |
|
 |
제책 | 반양장 |
ISBN | 978-89-521-1414-3(94820 ) |
재고상태 | 재고 있음[ 306 ] |
 |
|
|
|
|
|
 |
|
|
개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본 16-18세기 중국 소설 중국 사회에서는 개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했으며, 어떠한 조건과 상황 속에서 개인의식은 더 두드러지게 자각되고 발현되었는가? 이 문제는 특히 동아시아 사회의 독특한 성격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 있어 매우 본질적인 한 부분이다. 중국에서는 대체로 한 개인이 개별적인 존재로서보다 사회 구성원으로의 역할과 의무가 중시되었고, 중국 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집단에서의 역할과 의무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16세기 전후에 발생한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토대의 변화는 ‘개인’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대한 이해는 근대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이 전환기의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이자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개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16-18세기 중국 소설을 새롭게 조망하고 분석한다. |
|
|
|
|
|
|
|
|
머리말
제1장 서론 1. 왜 ‘개인’의 문제를 제기하는가? 2. 논의 방법과 전략
제2장 16–18세기 담론과 글쓰기에 나타난 개인의식 1. 개인의 자율성과 주체성에 대한 강조: 양명학 2. 글쓰기 담론에서의 자아 표현과 개성에 대한 중시 1) 성령시파에서 발견되는 개인의식 2) 동심설 등 몇 가지 주장에 나타난 개인의식 3. 개인의식의 성장과 글쓰기에 나타난 변화 1) 소품문: 서신, 일기, 유기를 중심으로 2) 자전적인 글 4. 소결
제3장 16세기 이후 소설 독자와 작가의 성격 변화 1. 출판문화의 보급과 소설 독자층의 성격 변화 1) 작품을 통해 본 독자층의 성격 2) 소설 평점을 통해 본 독자층의 성격 2. 16–18세기 소설 작가의 성격 변화 1) 16–17세기 작가의 성격 2) 18세기 작가의 성격: 『홍루몽』을 중심으로 3. 소결
제4장 소설 작품에 나타난 개인의식 1. 명말 ‘사대기서’에서 발견되는 ‘개인’ 1) 공적인 시공간을 살아가는 전형화된 인물: 『삼국연의』와 『수호전』 2) 사적인 시공간을 살아가는 욕망의 개인: 『금병매』 3) 내면을 향한 관심과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인물 형상: 『서유기』 2. 18세기 『홍루몽』에서 발견되는 개인의 ‘내면세계’ 1) 등장인물에 분산되어 투영된 가보옥의 내면적 자아 2) 가보옥의 내면세계 3.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 간 사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