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7. 28. SERICEO 강의자료에서 발췌
북리뷰
< 공자와 세계 >
채승병 수석연구원
경영전략실
◆ 동양정신의 근간, 유교사상경영전략실
But, 젊은세대는 '공자님 말씀'이라 하면 고루한 잔소리로 치부하는 분위기.◆ 공자 철학의 재조명
『공자와 세계』황태연 著, 청계 刊, 2011년
• 많은 경영인들이 강조하는 창조, 창조를 위해서는 남과 다른 시야로 세상을 읽고, 전혀 무관한 존재를 새롭게 엮는 소양이 필요.창조의 실마리가 유교 철학에 숨어있다!◆ 서구의 발전 원동력
서구는 지난 두세기 동안 합리주의와 과학발전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개척.◆ 유럽으로 흘러들어 간 공자 철학
반면, 동아시아는 합리주의 세계관을 확립하지 못해 물질문명에서 퇴보.
- 20세기 후반부터 서구를 추격하고 있지만, 창조력은 아직 부족한 상황.
서구의 발전은 공자와 맹자 철학을 포함한 외부 사유체계를 적극 수용하고 진일보시킨 결과.
• 동양에 대한 서양학자들의 관심 - 18세기부터 유럽의 은(銀)은 중국문물과 교류◆ 자유방임주의에 영향을 준 공자 철학
→ 중국의 각종 기록과 번역서들이 유럽으로 유입.
• 유럽인들은 황제 통치 하에 번영하던 중국과 이를 떠받치는 질서를 탐구 - 공자의 '인(仁)'과 '중용(中庸)'을 발견.
고전경제학의 아버지, 아담 스미스(1723~1790)- '국부론'을 펴내기 前, 계몽철학자 데이비드 흄, 프랑수아 케네 등과 교류.◆ 서구문명의 융성은 패치워크문명의 승리
유럽의 공자, 프랑수아 케네(1694~1774)- 공자의 無爲而治에 감명.
- 無爲를 국가번영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번역해 '자유방임(Laissez-Faire)' 설파.
아담 스미스는 무위(공자)와 자유방임(케네)에 자신의 경제철학을 더해 '자연적 자유(Natural Liberty)'의 개념을 정립.
→ '보이지 않는 손' 탄생!
• 공자의 無爲而治와 과학기술을 결합. - 공자 철학에 기독교 신학과 그리스 철학을 결합.◆ 이제는 우리가 패치워크로 발전해야 할 때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태도로 他문명을 덧붙여 강화하고 발전해가는 것이 바로 ‘패치워크 문명’.
• 모든 발전에는 한계가 존재. - 이때 열린 자세로 他문명(문물, 사람, 사상)을 수용해 결함을 메울 수 있어야 발전이 지속. 즉! 패치워크가 필요한 것!
• 지금 세계는 경제위기와 환경파괴로 인간다운 삶을 갈구 中.◆ 경영은 창조, 창조는 패치워크
-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공자의 덕성주의가 필요한 시점!『공자와 세계』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공자 철학을 창조적으로 再해석하는 길을 제시.
경영자는 기업이 한계에 부딪쳤을 때, 창조적인 자기비판과 변화를 도모하는 사람이기에 열린 자세로 더 많은 지식 수용이 필요하다.『공자와 세계』를 통해 공자 철학이 제시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만나보세요.
(박철원 옮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