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백제 유민 이야기
연세국학총서 75 | 양장본
목차
머리말
제1장 고구려 유민 왕모중의 발자취
1. 임치왕 이융기의 노예 왕모중
2. 황제 즉위 이전의 이융기와 왕모중 관계
3. 현종 이융기와 왕모중 관계
4. 왕모중의 병부상서 요구
5. 결론
제2장 연개소문의 맏아들 남생의 발자취와 고구려 멸망
1. 『당서』에 나타난 남생의 집정 이전기
2. 묘지문에 나타난 남생의 가계
3. 묘지문에 나타난 남생의 흔적
4. 남생의 고구려 집정기
5. 당과 제휴한 남생
6. 고구려 멸망과 남생
7. 당에 의한 고구려 식민지배와 장안에서의 남생
8. 고구려 유민의 고구려 부흥운동
9. 요서·요동으로 파견된 남생
10. 남생의 최후
11. 묘지문에 보이는 남생 평가
12. 결론
제3장 남생의 아들 헌성의 당에서의 행적
1.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가계
2.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성장기
3.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아버지 남생의 죽음
4. 당의 장군으로 개선한 헌성
5. 헌성의 활약
6. 헌성의 억울한 죽음
7. 결론
제4장 연개소문의 셋째 아들 남산의 발자취
1. 남산의 묘지문의 첫부분
2. 묘지문에 나타난 남산의 가계와 청·장년기
3. 보장왕 명령에 따른 남산의 항복
4. 결론
제5장 백제 장군 흑치상지의 토번.돌궐 토벌
1. 백제에서의 흑치상지
2. 백제 멸망과 흑치상지
3. 백제 부흥운동과 흑치상지
4. 당으로 잡혀간 흑치상지
5. 흑치상지의 토번토벌
6. 흑치상지와 서경업의 난
7. 흑치상지의 돌궐 토벌
8. 흑치준의 흑치상지 복권운동
9. 결론
제6장 흑치상지의 아들 흑치준
1. 흑치준의 가계
2. 흑치준의 행적
3. 결론
부록
찾아보기
제1장 고구려 유민 왕모중의 발자취
1. 임치왕 이융기의 노예 왕모중
2. 황제 즉위 이전의 이융기와 왕모중 관계
3. 현종 이융기와 왕모중 관계
4. 왕모중의 병부상서 요구
5. 결론
제2장 연개소문의 맏아들 남생의 발자취와 고구려 멸망
1. 『당서』에 나타난 남생의 집정 이전기
2. 묘지문에 나타난 남생의 가계
3. 묘지문에 나타난 남생의 흔적
4. 남생의 고구려 집정기
5. 당과 제휴한 남생
6. 고구려 멸망과 남생
7. 당에 의한 고구려 식민지배와 장안에서의 남생
8. 고구려 유민의 고구려 부흥운동
9. 요서·요동으로 파견된 남생
10. 남생의 최후
11. 묘지문에 보이는 남생 평가
12. 결론
제3장 남생의 아들 헌성의 당에서의 행적
1.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가계
2.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성장기
3. 묘지문에 나타난 헌성의 아버지 남생의 죽음
4. 당의 장군으로 개선한 헌성
5. 헌성의 활약
6. 헌성의 억울한 죽음
7. 결론
제4장 연개소문의 셋째 아들 남산의 발자취
1. 남산의 묘지문의 첫부분
2. 묘지문에 나타난 남산의 가계와 청·장년기
3. 보장왕 명령에 따른 남산의 항복
4. 결론
제5장 백제 장군 흑치상지의 토번.돌궐 토벌
1. 백제에서의 흑치상지
2. 백제 멸망과 흑치상지
3. 백제 부흥운동과 흑치상지
4. 당으로 잡혀간 흑치상지
5. 흑치상지의 토번토벌
6. 흑치상지와 서경업의 난
7. 흑치상지의 돌궐 토벌
8. 흑치준의 흑치상지 복권운동
9. 결론
제6장 흑치상지의 아들 흑치준
1. 흑치준의 가계
2. 흑치준의 행적
3. 결론
부록
찾아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