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의 인간상 - 신화/하/은/주 편
: 한글판 동양의 인간학
「삼황오제의 신화」나 「하ㆍ은ㆍ주 삼대의 이야기」는 다 수천 년 전부터 전하는 「신화, 사화 및 전설」이다. 그러나 신화나 사회 속에 담겨진 사상적 전통이나 특색은 오늘의 우리들과 밀접하게 통하는 점이 많다. 이 점이 동양 및 중국 사상의 특성이며 전통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삼황오제의 「덕치사상」이 바로 하의 우왕, 은의 탕왕 및 주의 문왕, 무왕의 덕치사상으로 이어지고 또 일관된 도리와 전통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특색이 바로 유가 사상의 전통이며 특색이다. 따라서 유교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에도 그 영향이 광범하고 또 깊이 남아있다.
저자 : 장기근
『한글판 동양의 인간학』 간행사
저자의 말
제1편 신화편
제1장 천지개벽과 인류탄생
제2장 성제와 덕치
제2편 하왕조편
제1장 한발과 홍수
제2장 우왕과 하왕조
제3장 하의 세습과 찬탈
제3편 은왕조편
제1장 탕왕의 등장
제2장 은의 역대 왕들
제3장 은나라의 멸망
제4편 주왕조편
제1장 주의 시조
제2장 문왕과 무왕의 건국
제3장 서주의 임금들
제4장 서주의 멸망
제5편 부록 논설문
부록(1) 중국 신화 개설
부록(2) 부록 : 참고사항
부록(3) 부록 : 사략의 기록
부록(4) 주에 관한 참고
부록(5) 중용과 문무주공
부록(6) 덕치로 인류를 구제하자
후기
색인
저자의 말
제1편 신화편
제1장 천지개벽과 인류탄생
제2장 성제와 덕치
제2편 하왕조편
제1장 한발과 홍수
제2장 우왕과 하왕조
제3장 하의 세습과 찬탈
제3편 은왕조편
제1장 탕왕의 등장
제2장 은의 역대 왕들
제3장 은나라의 멸망
제4편 주왕조편
제1장 주의 시조
제2장 문왕과 무왕의 건국
제3장 서주의 임금들
제4장 서주의 멸망
제5편 부록 논설문
부록(1) 중국 신화 개설
부록(2) 부록 : 참고사항
부록(3) 부록 : 사략의 기록
부록(4) 주에 관한 참고
부록(5) 중용과 문무주공
부록(6) 덕치로 인류를 구제하자
후기
색인
댓글 없음:
댓글 쓰기